매월/연중 법회

매월 정기법회

초하루 법회

불교 신행활동의 가장 기본이며, 매월 초 맑은 업(淨業)을 닦음으로써 한 달 동안 호법선신의 보호를 받아 모든 재앙이 물러가고, 소원하는 모든 일들이 뜻과 같이 이루어지기를 기원하는 날 입니다.

보광사에서는 매월 초하루 많은 불자들이 동참하여 법회와 함께 성대한 기도 봉행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매월 음력 1일, 오전 10시

1가구 축원 1만원

아미타재일

매월 보름 아미타재일에는 ‘포와’ 수행을 합니다. 티벳어 ‘포와’란 ‘의식의 전이’를 말하며 임종 시 정수리의 범혈(梵血)을 통해서 자신 또는 타인의 의식을 아미타부처님의 극락세계로 보내는 성취법입니다.

포와는  티벳불교의 탄트라 수행으로 관정을 받으신 분 또는 일정기간 동안 티벳불교에 대한 교육을 마치신 분만 아미타재일 법회에 동참 하실 수 있습니다.

매월 음력 15일, 오후 2시

관음재일 법회

대자대비자비(大慈大悲)로 중생을 구제하고 이끄는 관세음보살님께 기도, 불공을 올리는 날이 관음재일입니다. 일천 개의 눈과 일천 개의 손으로 중생의 모든 것을 듣고, 보며 보살피시기에 천수천안관자재보살(千手千眼觀自在菩薩)이라 고도 부릅니다.

현실세계에서 어려움에 처해있는 중생이 관세음보살님의 명호를 부르면 수많은 화신으로 응하여 중생의 소원을 들어주는 분이기에 어려움에 처해있는 우리들이 가장 친근하게 믿어 의지하는 보살입니다.

매월 음력 24일, 오전 10시

1가구 축원 1만원

연중 정기법회

정월 신중기도

정월 신중기도는 새해를 맞이하면서 그 한해를 온전하게 살아가고자 하는 마음과 한해의 소원을 원만하게 성취하고자 하는 염원을 담고 있습니다. 연초에 부처님의 대자비와 지혜 광명이 온 누리에 두루하기를 기원하고, 일년 동안 호법선신의 보호를 받아 모든 재앙이 물러가고, 소원하는 모든 일들이 뜻과 같이 이루어지기를 21일 동안 기원합니다.

음력 1월 3일 ~ 24일, 오전 10시

1가구 당 5만원

입 춘 불 공

불보살님의 가피로 재액을 소멸하고 사업성취 및 화목한 가정을 이룩하기 위한 입춘 맞이 삼재풀이 불공입니다. 삼재란 물과 불과 바람(水.火.風)의 세 가지로 일어나는 재난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삼재가 들면 재산의 파재, 환난 등 흉악사가 생긴다고 하여 매사에 기피하고 있습니다. 우리 불자는 부처님을 믿는 돈독한 신심과 끊임없는 기도와 정진으로 이러한 삼재를 이겨 나가야겠습니다.

준 비 물:  삼재에 든 사람은 백미 3되를 종무소에 준비된 자루와 봉투에 넣고 봉투에  ‘주소, 성명, ○○ 생을 기입하여 신중단에 올림.

양력 2월 3일 ~ 4일, 오전 10시

1인 당 1만원

정월 방생법회

방생은 살생(殺生)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살생을 금하는 것이 소극적인 선행이라면 방생은 적극적으로 선(善)을 행하는 일입니다. 비록 미물일지라도 그 생명을 소중히 여겨 보호하는 것이 바로 방생의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오늘날과 같은 생명경시 풍조 속에서 더욱 넓은 마음으로 타 생명을 존중하고 사랑하여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어가야 하겠습니다.

음력 1월 중

1가구 당 3만원

산 신 기 도

불교에서 산신은 부처님의 도량을 수호하고 인간의 재물, 수명, 복을 관장하고 옹호하는 호법신장이십니다. 호랑이는 짐승 중에 가장 영특한 영물이므로 산을 지키는 상징으로 삼고 있습니다.

산신기도를 하면 용맹으로 신심을 다지고, 신령스러운 지혜를 갖추고, 덕성스러움으로 교화할 수 있는 힘을 양성하게 하여, 무엇인가 하나는 속히 성취할 수 있습니다.

음력 3월 16일, 산신재일

1가구 당 3만원

칠석기도

칠석은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만나 사랑을 나눈다는 우리 민족의 명절입니다. 또한 불교에서는 북두칠성을 모시는 것이라 하여 칠석불공 이라고도 합니다. 원시 사회부터 북두칠성을 보고 특히 자손창성과 수명장수, 부귀영화를 기원하는 민간 신앙이 이어져 왔으며, 불교가 전래되자 이 신앙은 자연스럽게 불교와 융합하여 계승되었습니다. 

음력 7월 7일, 오전 10시

1가구 당 2만원

우란분절(백중)

우란분절(백중)은 목련존자가 지옥에 빠져 고통받는 어머니를 위해 덕이 수승한 스님들께 공양 올려 그 법력으로 해탈의 문으로 들어가게 하신 날로, 미혹에 사로잡혀 거꾸로 매달린 듯 고통받으며 악도를 헤매는 수많은 중생들을 해탈시키는 날로 불교의 5대 명절 중 하나입니다. 보광사에서는 21일간의 지장기도로 조상 및 인연있는 영가와 유주무주 고혼은 천도하고 있습니다.

입재: 음력 6월 24일, 회향: 음력 7월 15일

영가 1분당 1만원

수능(학업성취) 100일기도

매년 8월, 수학능력시험 100일을 앞두고 <학업성취 백일기도>를 봉행합니다. 불보살님의 가피로 시험으로부터 찾아오는 중압감을 물리치고, 평온한 마음으로 최대한의 능력을 성취할 수 있기를 기원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좋은 시험성적을 얻기 위한 발원이 아니라 차 후 자녀들이 바른 삶을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기원하는 기도가 될 것입니다.

입재: 양력 8월 중, 회향: 수능당일

1인 10만원

참회정진 100일 기도

자신이 알게 모르게 지은 죄가 참으로 크다는 것을 처절하게 자각하게 되면, ‘앞으로는 더 이상 나쁜 짓을 하지 않겠다’는 굳은 결심이 서게 되고, 지난날의 잘못은 진정으로 참회하고 또 앞으로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라 언제나 자비심으로 중생을 이익되게 하는 일만 하게 되는 것입니다.

보광사에서는 한해의 모든 업장이 소멸되고 바라는 바를 모두 성취하기 위해 ‘금강살타 100자 진언’ 암송, ‘참회정진 100일’ 기도를 매년 봉행합니다.

입재: 음력 8월 24일, 회향: 음력 12월 8일

1가구당 10만원

동지법회

1년 중 밤의 길이가 가장 길며, 이 날부터 밤의 길이가 짧아지고 낮의 길이가 길어져 작은 설이라고도 부릅니다. 예로부터 동짓날엔 붉은 팥죽을 쑤어 귀신을 물리치는 관습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이 날 올리는 동지 팥죽 불공은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에 있어 잡귀와 재앙을 멀리하고 복을 구하는 의미를 갖는 한편 부처님 전에 간절한 마음으로 지난 해를 참회하면서 소원을 빌어 복을 짓기 위함입니다.

양력 12월 21일 또는 22일, 오전 10시

1가구당 2만원

성도재일 철야정진

성도재일은 싯다르타 태자가 출가 후 6년 고행 끝에 보리수 아래서 깨달음을 이루어 붓다가 되신 것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불교의 4대 명절 중 하나로 아주 큰 의미가 있는 날입니다.

예전에는 정근, 사경, 좌선, 절 등을 하면서 철야정진을 하였지만 이제는 간략한 정근과 좌선 그리고 성불도 놀이를 통해 그 의미를 되새기고 있습니다.

음력 12월 7일, 오후 8시